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경기도민이라면 더 경기패스로 매달 교통비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. 환급 한도 없는 혜택과 넓어진 청년 기준, 간편한 신청 절차까지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더 경기패스

    더 경기패스 개요

     더 경기패스는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도민을 대상으로, 대중교통(버스·지하철·GTX 등)을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사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제도입니다. 시외·고속버스, KTX, SRT 등 별도 발권 수단은 제외되며, 주로 버스나 지하철 이용자에게 적합합니다.

     

     이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환급 한도가 없다는 점입니다. 월 15회 이상만 이용하면 이후에는 무제한으로 환급이 적용되므로, 출퇴근 및 통학 등 대중교통 이용 빈도가 높은 경기도민에게 매우 유리합니다.

     

    신청 방법

    신청 방법

     더 경기패스를 이용하려면 K-패스 기능이 포함된 교통카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. 체크카드 또는 신용카드 모두 가능하며, 발급 후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→ 카드번호 입력 → 본인 인증 → 경기도 주소 확인 순으로 등록하면 신청이 완료됩니다.

     

     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자동으로 환급이 적용됩니다. 기존 K-패스를 사용 중이며 주소지가 경기도라면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전환됩니다.

     

    환급 혜택

    환급 혜택

     일반인은 사용 금액의 20%, 청년(만 39세 이하)은 30%, 저소득층은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다자녀 가구의 경우 2자녀는 30%, 3자녀 이상은 50%까지 적용됩니다.

     

     환급 방식은 카드 청구 할인, 계좌 입금, 마일리지 적립 중 선택 가능하며, 특히 환급 한도가 없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. 기존 K-패스가 월 60회까지만 환급이 가능했던 것과 비교하면 훨씬 유연한 혜택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.

     

    K-패스와 차이점

    K-패스와 차이점

    1. 대상: K-패스는 전 국민, 경기패스는 경기도민만 해당
    2. 환급 한도: K-패스는 월 60회 제한, 경기패스는 무제한
    3. 청년 기준: K-패스는 만 34세, 경기패스는 만 39세
    4. 전환 절차: K-패스 사용 중 경기도 거주자는 자동 전환

     

    신청 팁

     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경기패스를 이용하려면 반드시 K-패스로 전환해야 합니다. 2025년 6월 30일까지 전환하면 자동으로 경기패스 혜택이 적용되며, 매월 환급을 받으려면 반드시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출퇴근, 통학, 잦은 외출 등 대중교통 이용이 많은 분이라면 매달 수만 원의 환급을 받을 수 있으니, 경기도민이라면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길 권장드립니다.